221125_[삭발투쟁결의문]_137일 차, 송현우(이천이삭장애인자립생활센터)
- [결의문&발언문]
- 한자협
- 11-25
- https://www.kcil.or.kr/post/562
?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37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
차별 없는 사회,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. 여기 오기 전에 ‘머리카락 조금 짧아진다고 내가 달라질까? 머리카락쯤이야…’라는 생각을 했습니다. 하지만 막상 이 자리에 있으니 많은 고민이 생깁니다. 마음이 무겁습니다. 저는 장애인입니다. 숨어도, 보이지 않으려 노력해도 장애인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.
학창 시절 비장애 학급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.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체육 시간에, 체험 학습에 같이할 수 없었습니다. “너는 장애인이니까, 걷지 못하니까, 뛰지 못하나까, 너를 돌봐 줄 사람이 없어서 같이 못하는 거야. 교실에 남아 교실을 지켜.” 저는 학창 시절 이런 이유로 항상 교육과 관련된 활동에서 배제되어 왔습니다.
성인이 되어 사회로 나가야 할 시기에 두려움에, 불안함에 휩싸여 수년을 집에서만 살았습니다. 인도에 턱이 있으면 차도로 돌아가야 하는데 차에 치이면 어떡하지? 추운날 먼 거리를 추위에 떨며 이동해야 하는데 꼭 가야 하나? 내가 노동을 해서 돈을 벌어 사고 싶은 것, 먹고 싶은 것 먹고 싶은데 나를 받아 줄 직장이 있을까? 아주 기본적인 고민이었습니다.
여러분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불편을 느껴 보신 경험 있으십니까? 이동하기 위해 3~4시간을 기다려 본 경험 있으십니까? 장애인은 집 밖을... 시설 밖을 나오는 순간, 아니 나오기 전부터 이동하기 위해, 교육받기 위해, 노동을 하기 위해 태어난 순간부터, 장애인이 된 순간부터 기다림은 당연시되는 사회 구조입니다. 이런 문제들이 아직까지 장애인 당사자 개개인의 문제로만 여겨지는 사회! 정말 우리 장애인의 잘못인가요?
장애인을 시혜와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, 장애인을 존엄한 인간으로 바라봐 주십시오. 국가의 한 구성원, 시민으로 모두가 동등하게 권리를 가지는 사회로 바뀌었으면 합니다. 제 머리카락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라납니다. 하지만 우리가 장애인의 권리를 외쳐 온 21년, 더 오래 지나온 시간은 다시 복구되지 않습니다. 이제는 이런 문제들을 개인의 문제로만 바라보는 행태는 그만두어야 할 때입니다. 대한민국 정부가 발 벗고, 국회가 법안으로, 기재부가 예산 확보로 응답할 때입니다.
불평등한 사회가 모두에게 평등해져서 평등을 외치지 않는 그날까지 투쟁하겠습니다. 투쟁!
? 결의문 모아 보기: https://bit.ly/삭발결의문
✅ 한자협 19주년기념 영상 링크: https://youtu.be/rjB4SQYs5b4
?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: https://youtu.be/UPKq2OMj5fg